
제 1단계 | 제 2단계 | 제 3단계 | |
---|---|---|---|
시기 | 단기 | 중기 | 장기 |
사업연도 | 2024년~2026년 | 2027년~2029년 | 2030~2032년 |
사업기간 | 향후 1~3년 | 향후 4~6년 | 향후 7~10년 |
사업대상 | 시설 및 지역장애인 | 시설 및 지역장애인 지역사회소외계층 |
시설 및 지역장애인 지역사회소외계층, 일반근로인 |
1. 개별화된 직업재활 계획을 바탕으로 직업훈련 체계확립 |
- 이용인 자치활동 활성화를 위한 동아리 활동 - 기관 및 사업체 탐방을 통한 직업의식 고취 - 개인별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활동 - 이용인 인권 강화 |
- 신규 사업 안정화를 위한 장애 특성별 맞춤형 직업훈련 프로그램 개발 - 체계적인 이용인 관리를 위한 시스템 마련 |
- 이용자 중심의 통합지원체계 구축 |
2. 안정된 수익 구조 마련으로 경제적 ․ 심리적 자립지원 |
- SNS 마케팅 강화 - 신제품 개발(세제류) - 연 매출 8억(20%성장) - 근로장애인 8명 최저임금지급 - 국비기능보강보사업 장비보강 신규사업계획 |
- 신규사업 안정화 - - ESG 가치실현 (카페 운영시 발생되는 일회용 부자재 구입 줄이기) - 안전한 작업환경 제공을 위한 환경개선 및 안전교육 강화 - 근로장애인 15명에게 최저임금지급 - 연 매출 12억(90%성장) |
- 기관의 총체적 역량강화 - 경제적, 사회적 자립체계구축 - 근로장애인 18명에게 최저임금지급 - 전략적 생산품의 고품질 브랜드화 - 연 매출 15억(150%성장) |
3. 도움을 주고 받는 사회 구성 원으로의 기여 |
- 다양한 문화체험을 통한 장애인인식 개선 : 해외문화체험여행 - 품질 경영관리를 통한 고객만족 실현 - 보호자 연계강화를 통한 자립 추진 : 체험홈→그룹홈 - 지역사회 특수학급 학생들과 연계된 직업훈련 실시 |
- 복리사업 추진 (휴가제도, 인센티브 지급) - ESG 가치실현 - (카페 사업의 재활용을 위한 커피박 공예의 활성화로 지역사회 기관과 연결하여 장애인인식 개선교육 활성화) |
- 지역사회와의 일체화 - 지역사회 네트워크 확립을 통한 사회 기여 사업 진행 |
비 고 |